지금까지 하나의 의학적인 가설로서 제기된 노화학설 가운데 대표적인 것으로는

  ① 소모설     

  ②유해물질축적설

  ③특정장기원발설

  ④결합조직노화설

  ⑤활성산소설

  ⑥돌연변이설

  ⑦노화다원설     

  ⑧자기면역설 등이 있는데,

현재 가장 유력한 것은 활성산소설(遊離基說, Free Radical Theory)이라고 말 할 수 있다.

이 활성산소설은 미국 네브라스카 대학의 방사선생물학자인 D.허만 교수가 1956년에 발표한 것이다.



한마디로 표현하자면, 굉장한 활성을 지닌 활성산소에 의해 인체를 구성하는 60조의 세포가 수백 수천 수십억으로 원자폭탄의 핵폭발반응과 같이 연쇄적으로 연속 파괴되어가 노화되며 드디어는 죽음에 이른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연쇄적인 세포파괴의 진행과정에서 활성산소가 세포의 핵을 직격탄으로 공격해서 유전자(DNA)에 돌연변이를 일으켜 암을 발생시키든가, 심장을 위시한 여러 장기나 혈관등의 조직에 돌이킬 수 없는 손상을 가해 사람의 수명을 단축한다는 의미도 포함된다.



D.허만 박사와 A.타펠 박사는 노화의 속도를 가속시키는 유해한 활성산소 반응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 세포막을 공격하여 과산화지질을 만들고 여기서 연쇄적으로 활성산소를 재생산하여 세포를 파괴한다.

@세포 내의 소기관인 라이소좀을 파괴하고 그 속에 있는 각종 분해효소가 터져 나와 세포자체를 녹인다.

@영양분을 집어 넣고 노폐물을 배출시키는 관문인 세포막을 파괴하여 세포의 기능을 정지시킨다.

@리포푸스친을 만들어 세포의 활력을 떨어뜨린다.

@세포 내의 핵 속에 있는DNA(유전인자)와 단백질을 융합시켜 DNA의 기능을 파괴해 버린다.

이러한 활성산소에 의한 세포의 파멸을 방어해 주는 것이 셀레늄을 주성분으로 하여 간장에서 합성되는 글루타치온-퍼옥시다제라는 효소인 것이다. 이 효소가 60조의 세포를 활성산소로부터 보호한다.

인간이 점차 노화되어 간다는 것은 한마디로 말해서 [세포의 산화]인 것이다. 이것을 강력하게 저지하는 것이 셀레늄이다.사람은 20대까지는 약60조의 세포를 유지한다. 그로부터 30대까지 56조 4천억, 40대가지 52조 8천억, 50대까지 49조 2천억...이렇게 해서 90대에는 38억 4천억으로 줄어지면서 노화해 간다.



사업자 정보 표시
항암닷컴 | 양재호 | 서울시 종로구 관훈동 백상빌딩 10층 | 사업자 등록번호 : 122-05-20941 | TEL : 02-747-5574 | Mail : xinghua@naver.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종로 제 559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우리들의 신체는 골격, 피부, 심장, 간장, 신장... 등의 장기나 조직으로 이뤄지는데, 그 장기나 조직은 모두가 한 개의 수정란의 분열에 의한 많은 세포로 구성되어 몸 전체로는 약 60조의 세포가 되는 셈이다. 간장도 이렇게 세포로 이루어졌으며, 세포하나하나는 세포막에 의해 보호되는데 그 세포막은 인지질이 대부분이고 군데 군데에 효소단백이 들어 있다.



인지질은 리놀레산이라는 불포화지방산으로 구성된 복합지질이다. 세포 안에는 핵을 비롯하여 미토콘드리아, 리보좀, 공기체, 라이소좀 등의 작은 기관들이 있는데 이들의 막인 생체막도 역시 인지질로 구성되어 있다. 바로 여기에 문제가 있는 것이다.

세포막이나 생체막의 주성분인 인지질이 불포화지방산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활성산소의 공격대상이 되어 산화하면 과산화지질을 생성한다. 과산화지질이 단백질과 결합하면 리포푸스친이라는 중합체가 생성된다.

간장세포의 세포막이나 생체막에 과산화지질이 생성되거나 리포푸스친이 침착되면 어떻게 될까?

과산화지질은 활성산소를 연쇄반응으로 확대재생산하여 세포를 괴사시키거나 돌연변이된 엉뚱한 세포로 바뀌게 된다. 이렇게 되면 괴사된 세포군에 섬유소가 점거되어 간경화증을 일으키고, 돌연변이로 말미암아 간암을 유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세포막에 과산화지질이나 리포푸스친이 엉겨 붙으면 영양분의 공급과 노폐물의 배출이 나빠져 세포의 활력이 정지되고 드디어는 세포의 괴사가 일어날 것이다.



셀레늄을 함유하는 글로타치온-퍼옥시다제는 간세포가 활성산소의 공격을 받지 않겠끔 방어하는 파수병이며, 간세포의 해독기능을 원활히 하고, 간세포의 괴사로 일어나는 경화성병변이나 간세포의 암화를 강력히 예방하는 수단이 된다.

간장은 신체의 화학공장으로서 15~20일이면 전체성분이 새것으로 바뀔 만큼 신진대사가 활발한 장기이므로 세포막의 투과성이 나빠지면 큰 타격을 입는다.

셀레늄 효모에는 10g당 200mcg의 셀레늄과 50%이상의 양질의 단백질, 비타미B군, 식물다당체, 핵산, 콜린, 이노시톨, 각종 효소군이 풍부하여 간염, 간경화증, 간암의 예방과 치료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사업자 정보 표시
항암닷컴 | 양재호 | 서울시 종로구 관훈동 백상빌딩 10층 | 사업자 등록번호 : 122-05-20941 | TEL : 02-747-5574 | Mail : xinghua@naver.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종로 제 559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

'건강기능 정보 > 면역력강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떨어지는 기억력, 셀레늄으로 예방하자  (0) 2010.02.06
셀레늄과 노화  (0) 2010.02.06
셀레늄과 백내장  (0) 2010.02.06
셀레늄과 고혈압  (0) 2010.02.06
셀레늄과 성기능  (0) 2010.02.06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눈의 구조를 사진기에 비유하면 렌즈에 해당하는 것이 수정체로서, 수정체에 의해 빛을 굴절시켜 필름에 해당하는 망막 위에 초점을 맞추는 구조로 되어있다. 인간의 수정체는 두께 약 4mm, 지름 약 9mm로서 정상적인 사람에서는 투명하고 약간 황색을 띄고 있다. 이투명해야 하는 수정체에 혼탁이 생겨 물체가 안개낀 것처럼 희미하게 보이다가 진행하면 아예 보이지 않는 것이 백내장이란 시력장애이다.

백내장은 선천적인 것과 외상에 의한 것도 있지만 노인성의 것이 전체의 90%를 차지한다고 한다. 당뇨병의 합병증으로서 오는 경우도 있는데 이것은 노인성의 것에 산입한다.



백내장인 때에 수정체에 생기는 혼탁은 그 원인이 당단백의 산화에 의한 크로스링크(Ccrosslink)에 의한다고 생각하고 있다.



크로스링크라함은 가교라는 뜻인데, 단백질이나 핵산등의 거대분자는 긴사슬 모양의 분자인데, 사슬과 사슬사이에 다리를 놓은 반응이 일어나서 결합이 형성되는 현상을 말한다. 말하자면 어떤 원인에 의해 실이 헝클어져 뭉쳐지는 것과 마찬가지다.



그 어떤 원인은 무엇인가? 바로 그 범인이 활성산소 즉 슈퍼옥사이드(Superoxide)인데, 이것이 곧 활성산소다. 여태가지는 활성산소가 불포화지방산을 공격하여 과산화지질을 형성하는 예를 보아왔다. 여기서는 활성산소가 단백질을 공격하여 변성을 일으키는 것을 보고 있다.

여기서 셀레늄은 또 그 위력을 발휘할 기회를 포착하게 된다. 백내장은 수정체의 산화(크로스링크)에의해 일어나므로 셀레늄의 강력한 항산화 작용이 예방에 효과가 있다는 원리이다.

실제로 백내장 환자의 혈액 중에는 보통 사람의 약6분의 1에 해당하는 정도의 셀레늄 함량밖에 없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 또한 백내장 환자의 수정체에는 보통 사람에 비해 훨씬 적은 양의 비타민 C밖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한다.  항산화력을 가진 영양물질로는 셀레늄을 비롯하여 비타민E, 비타민C, 비타민A등이 있다 그래서 ACE+S(에이세스)가 처방되고 있다.



사업자 정보 표시
항암닷컴 | 양재호 | 서울시 종로구 관훈동 백상빌딩 10층 | 사업자 등록번호 : 122-05-20941 | TEL : 02-747-5574 | Mail : xinghua@naver.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종로 제 559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

'건강기능 정보 > 면역력강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셀레늄과 노화  (0) 2010.02.06
셀레늄과 간장병  (0) 2010.02.06
셀레늄과 고혈압  (0) 2010.02.06
셀레늄과 성기능  (0) 2010.02.06
셀레늄과 심장병  (0) 2010.02.06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