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나이에도 글루코사민을 찾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대부분이 다이어트를 무리하게 했거나 무릎을 많이 사용하는 운동을 하는 사람들이다. 무릎이 아픈 증상을 글루코사민을 섭취해 도움을 받으려는 것이다.

 

그러나 글루코사민의 광고에 등장하는 모델들은 주로 40~50대 중장년층이다. 40대 이후에 많이 발생하는 퇴행성 관절염에 글루코사민이 도움이 된다는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다. 그렇다면 20~30대 젊은층이 글루코사민을 섭취하면 도움을 받을 수 있을까.

 

한마디로 말해 글루코사민은 의약품이 아닌 식품이어서 특정 연령대보다는 남녀노소에 구애받지 않고 섭취할 수 있다. 즉 20대 젊은층이 섭취해도 무방하다.

 

글루코사민은 관절의 손상을 방지하는 연골의 생성을 촉진시켜 주는 것으로 알려진 건강기능식품. 관절이 움직일 때 완충작용을 해주는 연골의 구성성분으로 이뤄져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나이가 들면서 연골이 닳아 없어지는 퇴행성 관절염의 초기단계에 주로 권장되고 있다.

 

최근 20~30대 젊은층의 관절염환자가 늘고 있으며 젊은층의 글루코사민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는 추세다. 대부분이 골절, 연골판, 인대가 손상돼 통증을 호소하는 것이 특징이다. 단시간에 장거리를 달리거나 오랫동안 걸어다니는 운동 등이 원인으로 지적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힘찬병원 인공관절센터 정범영 정형외과장은 “연골연화증 또는 과절과 인접한 부위에 골절이 오거나 관절내골절이 발생했을 경우 무릎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면서 “현재 퇴행성 관절염을 앓고 있지 않더라도 장기적인 관점에서 봤을 때 퇴행성 관절염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무릎에 무리를 주는 것이 계속되면 무릎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쳐 퇴행성 관절염이 오는 시기가 짧아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차원에서 20~30대에 관절건강을 미리 챙겨두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정범영 과장은 조언했다.

 

젊은 여성들이 체중감량을 위해 하루에 4~5시간 동안 걸어다니는 것은 관절에 무리를 줄 수 있다. 한 종류의 음식만을 섭취하는 원푸드 다이어트나 과도하게 관절을 사용해 운동하는 것도 관절건강을 해치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잘못된 동작으로 하는 요가 등도 관절, 뼈에 무리를 주기 때문에 바른 자세로 생활하는 것이 중요하다. 조게, 게 껍질에서 추출되는 것이 글루코사민이므로 자신에게 어패류 알레르기는 없는지 살펴 본 뒤에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글루코사민이 치료를 위한 의약품이 아니라는 사실을 인식하고 맹목적으로 의지하는 것은 금물이다.

 

특히 제품에 표시된 섭취방법을 준수해 과도한 양을 한꺼번에 복용하는 것은 지향해야 한다. 글루코사민 자체의 부작용은 크게 부각되는 것이 없지만 다량 섭취했을 경우 위장장애를 보일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사업자 정보 표시
항암닷컴 | 양재호 | 서울시 종로구 관훈동 백상빌딩 10층 | 사업자 등록번호 : 122-05-20941 | TEL : 02-747-5574 | Mail : xinghua@naver.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종로 제 559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기생충인 선충에 의해 분비되는 물질이 염증형 관절염을 치료하는데 있어서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글래스고우대학 연구팀이 밝힌 바에 의하면 열대지역내 기생충에 감염된 수백만명의 혈액내 이미 존재하고 있는 'ES-62'라는 물질이 염증성 관절염을 막는 것으로 나타났다.

류마티스성관절염이나 다발성경화증등의 자가면역질환은 기생충감염이 호발하는 지역에서는 드문 바 연구팀은 'ES-62'가 이 같은 현상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추정했다.

연구팀은 추가 연구를 통해 'ES-62'의 합성 유도체를 개발 류마티스성관절염을 예방할 수 있는 신약을 개발해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또한 이 같은 연구를 통해 'ES-62' 추출 약물 몇가지를 섞어 다양한 자가면역질환에 대한 새로운 치료제를 개발해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사업자 정보 표시
항암닷컴 | 양재호 | 서울시 종로구 관훈동 백상빌딩 10층 | 사업자 등록번호 : 122-05-20941 | TEL : 02-747-5574 | Mail : xinghua@naver.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종로 제 559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퇴행성관절염(골관절염)으로 인한 인공 고관절(엉덩이관절) 수술환자가 4년 새 1.7배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림대성심병원 류마티스내과 김현아 교수팀이 지난 2002년부터 2006년까지 4년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인공고관절 치환수술을 받은 전체 환자 1만8978명 중 퇴행성관절염으로 인공관절 치환수술을 받은 3983명을 2005년 인구센서스에 따라 연령과 성별 대비로 분석한 결과, 고관절 퇴행성관절염으로 인공관절 수술을 받은 환자가 2002년에 인구 10만명 당 1.5명 꼴에서 2006년에는 2.5명으로 1.7배 증가했다고 미국의 관절염 학술지 'Osteoarthritis and Cartilage' 지 2008년 11월호에서 밝혔다.

대상자 3983명의 인공고관절 치환술 남녀비율은 여성이 2419명으로 남성 1564명보다 50% 이상 높았다. 여성의 비율이 남성보다 10배 이상 높은 무릎 인공관절 치환술과 비교해서 성별에 따른 고관절의 퇴행성관절염 위험도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2006년 기준으로 남성은 60~64세 사이에 인구 10만명 당 6.57명, 여성은 65~69세 사이에 13.09명으로 가장 높은 인공관절 치환수술율을 보였다.

수술환자의 질환 별 분류는 무혈성골괴사가 1만2797명으로 가장 많았고, 퇴행성관절염 3983명, 염증성관절염(류마티스관절염 등) 423명, 골절 8명이었다. 기타 4대 관절 질환 분류에 포함되지 않는 환자는 1767명이었다.

김 교수는 "우리나라의 고관절 퇴행성관절염 유병율은 1.2%로 서구의 10~30%에 비해 아직 낮은 편"이라며 "그러나 최근 비만인구가 증가하면서 앞으로 고관절 퇴행성관절염 빈도가 증가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사업자 정보 표시
항암닷컴 | 양재호 | 서울시 종로구 관훈동 백상빌딩 10층 | 사업자 등록번호 : 122-05-20941 | TEL : 02-747-5574 | Mail : xinghua@naver.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종로 제 559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