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다공증으로 골절된 환자의 10명 중 7명은 골밀도 검진을 받은 적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아직도 골다공증의 위험을 잘 모르는 이들이 많다는 뜻이다.

 

대한골다공증학회(회장 임승길 연세의대 교수)와 대한골대사학회(회장 김기수 서울아산병원 교수)는 9월 25일부터 10월 20일까지 전국 13개 병원 골다공증성 골절 환자 265명을 대상으로 실태 조사를 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일 밝혔다.

 

골절된 환자 10명 중 6명은 골절 후에도 골다공증을 의심하지 않았고 골절 후 골밀도 검사를 한 환자는 10명 중 3명뿐이었다. 특히 골다공증 치료는 외면한 채 골절 증상에 대한 외과적 처치(37%)와 식습관 개선(30%)에만 치중하려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임승길 회장은 “환자가 골절을 경험한 것은 이미 골다공증이 상당히 진행됐다는 의미”라며 “골절로 인한 육체적인 고통 못 지 않게 심리적인 위축감도 크기 때문에 50대 이상 폐경여성은 매년 골다공증 정기검진을 통해 골절을 예방하는 게 최선”이라고 말했다.

 

골다공증은 50세 이상 폐경 여성의 30%가 경험하는 흔한 질환으로 칼슘과 비타민D를 섭취하고, 호르몬제나 골흡수를 억제하는 약물을 처방받아 복용하면 효과를 볼 수 있다.





 

사업자 정보 표시
항암닷컴 | 양재호 | 서울시 종로구 관훈동 백상빌딩 10층 | 사업자 등록번호 : 122-05-20941 | TEL : 02-747-5574 | Mail : xinghua@naver.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종로 제 559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두 다리의 길이가 고르지 않고 차이가 있는 사람은 퇴행성관절염이 나타날 위험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노스 캐럴라이나 대학 의과대학 정형외과전문의 조앤 조던 박사는 미국류머티즘학회 연례학술회의에서 연구발표를 통해 두 다리의 길이가 2cm이상 차이 나는 사람은 무릎과 고관절에 퇴행성관절염이 나타날 위험이 높다고 밝힌 것으로 헬스데이 뉴스가 24일 보도했다.

 

조던 박사는 퇴행성관절염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3천161명의 기록을 분석한 결과 다리길이의 차이가 2cm이상 나는 사람들은 무릎과 고관절 관절염 발생률이 각각 45.3%와 32.5%로 다리길이가 같은 사람들의 29%와 26.1%에 비해 현저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관절염이 나타나는 부위는 긴 쪽 다리 또는 짧은 쪽 다리와 대체로 연관이 없었으나 왼쪽 다리가 오른쪽 다리보다 긴 사람은 오른쪽 고관절에 관절염이 더 잘 나타났다고 조던 박사는 말했다.

 

다리길이가 다른 사람은 또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관절염의 증세도 비교적 심한 것으로 밝혀졌다.

 

조던 박사는 두 다리의 길이가 다른 사람은 전체 조사대상자 중 6.4%였으며 이는 남녀와 흑백인 모두 비슷했다고 말했다.

 

조던 박사는 이 연구결과는 퇴행성관절염 위험이 있는 사람을 가려내거나 관절염 환자의 예후를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하고 다음 단계의 연구는 다리길이가 차이나는 사람에게 보조장치를 통해 또는 구두굽을 높여 다리길이의 차이를 없애주면 관절염 위험이 낮아지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사업자 정보 표시
항암닷컴 | 양재호 | 서울시 종로구 관훈동 백상빌딩 10층 | 사업자 등록번호 : 122-05-20941 | TEL : 02-747-5574 | Mail : xinghua@naver.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종로 제 559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무릎통증이 있는 관절염 환자는 바깥 출입이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특히 과체중의 중년 여성이 대부분인 관절염 환자의 경우 운동이 꼭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통증 때문에 어쩔 수 없는 이중고를 겪게 된다.

 

관절염은 뼈와 뼈가 이어지는 끝부분에 약 4mm 두께의 부드러운 연골이 신체가 노화함에 따라 닳아 없어져 생기는 질환이다. 주로 관절을 사용하고 난 오후나 저녁에 통증이 심해지는 게 특징. 관절염 중에서도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퇴행성 관절염은 55세 이상자의 약 80%에서 나타나며 75세 이상의 노인은 거의 앓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로 나이가 들면서 자연스럽게 발생하지만 비만이나 심한 운동으로 관절에 무리를 많이 주거나 젊은 시절 관절을 다친 경우엔 조기에 발병할 수도 있다. 주로 엉덩이, 무릎, 척추처럼 체중을 지탱하는 관절에 잘 생긴다.

 

반면 류마티스를 관절염과 혼동하는 경우가 많은데 류마티스는 면역계 이상으로 나타나는 전신성 질환이다. 종류도 100여가지가 넘는데 이 중 관절에 주로 병을 일으키는 질환이 류머티스 관절염인 것. 류머티스 관절염은 백혈구가 세균과 정상 세포를 구분 못하고 신체 중 관절을 공격해 신체조직을 파괴하는 이른바 자가면역질환이다. 따라서 수많은 종류의 관절염이 있기 때문에 류머티스가 바로 관절염을 의미 하는 것은 아니다.

 

관절염이 시작되면 진행을 막거나 이전의 상태로 되돌릴 수는 없다. 하지만 규칙적인 운동과 생활습관으로 통증을 줄이고 관절기능을 향상시킬 수는 있다. 우선 관절이 많이 아프고 붓거나 열이 나면, 관절염이 한창 진행중이므로 가능한 안정을 취하면서 물리치료나 약물, 주사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최근에는 관절 연골의 주성분인 글루코사민 제제가 관절염의 증상을 완화시키고 예방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보고되고 있다. 통증이 심할 때는 뜨거운 목욕이나 샤워, 찜질 등으로 관절을 따뜻하게 해주면 통증과 뻣뻣한 증상을 완화하는데 도움이 된다. 하지만 열성 질환인 류머티스 관절염의 경우 따뜻한 찜질은 오히려 독이 되므로 금물이다. 차가운 얼음찜질이 좋다.

 

과다한 운동은 통증을 유발하므로 ‘조금씩, 자주’하다가 점차 운동량을 늘려가는 것이 좋다. 체중이 많이 나가면 관절이 지탱해야 하는 힘도 커지므로 생선이나 과일 등 열량이 적은 식사를 하고 활동량을 늘려 체중조절을 해야 한다. 관절염은 장기간의 치료와 관리가 필요하기 때문에 낫지 않는 병으로 잘못 알려져 있다. 하지만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뼈에 변형이 오거나 전신 혹은 부분적 신체장애를 초래하는 등의 부작용이 생길 수 있으므로 꾸준한 치료를 받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사업자 정보 표시
항암닷컴 | 양재호 | 서울시 종로구 관훈동 백상빌딩 10층 | 사업자 등록번호 : 122-05-20941 | TEL : 02-747-5574 | Mail : xinghua@naver.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종로 제 559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